자원봉사자의 힘으로 폭우 피해를 극복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자원봉사자의 힘으로 폭우 피해를 극복하다
- 홍성군자원봉사센터, 침수 가옥과 농경지 복구를 위한 봉사활동 진행 -
충남 홍성군에는 지난 16~17일 양일간 쏟아진 480mm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로 농경지, 축사, 가옥 등의 침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홍성군자원봉사센터는 집중 호우 피해가 발생한 직후 근무 체계를 재난현장 통합자원봉사센터로 빠르게 전환·운영하고 군에서 조사한 피해 현장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자원봉사자 모집·배치·운영하며 수해 복구 봉사활동을 펼쳤다.
7월 18일 목요일부터 1365자원봉사포털에서 전국의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집중호우 피해지역 복구 지원 자원봉사자 사전 모집을 시작하였고, 긴급한 수해복구의 시의성을 고려하려 전국 유관 기관 및 단체로 공문을 발송하여 봉사자 모집에 박차를 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지역 온라인 카페 등에도 복구 봉사자를 요청하는 홍보글을 게재하여 참여를 독려하였다.
19일부터 31일까지 13일 동안 수해복구 봉사의 대장정이 펼쳐졌다. 한국은행, 한국가스기술공사, 인천출입국 외국인청, 한서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충남캠퍼스, 가축위생방역본부, 충남사회서비스원, 바르게살기운동 홍성군협의회, 홍성군여성단체협의회, 홍성군장애인복지관, 홍성군노인종합복지관, 홍성군사회복지협의회, 홍성군의용소방대, 전국 자원봉사센터(경주시, 안성시, 안산시, 논산시, 고양시, 이천시, 성동구, 충주시, 금산군) 등 기관·대학·단체의 도움의 손길이 이어졌다.
부산, 군산, 서울, 수원, 춘천, 익산, 제주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에서 기차와 버스를 이용하여 만반의 준비를 마친 372명의 개인봉사자들이 수해 현장을 찾아주었다.
특히 농경지 피해가 컸던 홍성군은 토사가 가득 들이닥친 농장의 비닐하우스 안에서 주로 활동이 이루어졌는데 35도를 넘나드는 폭염 속에서도 토사 제거와 폐기물 분리 및 운반·처리를 위해 봉사자들이 굵은 땀을 쏟았다.
이에 더해 침수 가옥 복구도 시작되어 침수되었던 집기 청소와 정리, 토사 제거가 진행되었다. 최종 집계한 결과, 총 2,217명의 봉사자, 77개 단체가 홍성군 피해 지역을 찾아 복구 활동에 힘써 주었다.
홍성군에서는 자원봉사자를 위한 냉방 버스와 목욕 쿠폰 지원,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 성동구자원봉사센터·충남홍성지역자활센터에서는 커피차를 복구 현장에 제공하여 자원봉사자들에게 시원함을 선사하였다. 송파구자원봉사센터에서 장갑, 장화 등 자원봉사자 활동 물품을 전달했고, (사)우크라이나 자유평화재건에서는 미니 굴삭기와 화물차, 집게차 장비를 투입해 현장의 폐기물을 처리하였다. 또한 홍성군은 용봉산자연휴양림을, 레드클로버봉사단 이난영 대표는 개인소유의 공간을 활용하여 봉사자에게 숙소를 제공하였다.
대한적십자사봉사회 홍성군협의회에서는 복구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자원봉사자급식을 지원하였다.
경기도에서 달려온 이루찬, 김윤건 봉사자는 봉사활동 참여뿐 아니라 봉사자들과 나눌 약과 상자를 전하며 “언론보도에서 집중호우 피해가 극심한 모습을 보고 달려왔다”며 “봉사자들의 작은 손길이 모여 농가의 피해를 극복하고 희망의 싹을 틔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전에서 바쁜 직장생활 중 비번일을 활용해 이틀 연속 봉사활동에 나선 이치훈 봉사자는 “살면서 이런 수해복구 지원은 처음 해봤다”며, “가만히 있어도 덥고 힘든 날씨였지만 봉사자들과 함께하며 연대의 힘을 느낄 수 있었고, 다음에도 또 도움이 될 수 있는 봉사에 참여하고 싶다”고 전했다.
방은희 홍성군자원봉사센터장은 “전국에서 달려오는 자원봉사자들을 맞이하고 활동 현장을 함께하며 봉사의 위대함을 느꼈다”며, 폭우 피해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발판을 다져준 자원봉사자분들께 고개 숙여 감사 인사 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홍성군자원봉사센터는 홍성재난안전네트워크 카카오톡 공개 대화방을 개설하여 폭우 현장 소식은 물론, 자원봉사 참여 방법, 절차 안내, 교통편의 제공 등 실시간 쌍방향 소통을 통해 재난 대응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복구가 완료된 직후에는 재난 재해에 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한서대학교 태안캠퍼스 재난안전교육원에서 재난 대응 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홍성군자원봉사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사장 인사말
 이사장 인사말







